뇌하수체샘종 증상과 치료방법

개요

뇌하수체는 두개골 속에 있는 내분비 기관에서 여러 가지 호르몬을 분비하며 사람 몸을 컨트롤하고 있다. 뇌하수체 선종은 그 뇌하수체에 생기는 양성 종양의 하나로 호르몬을 과잉으로 분비되는 "기능성 뇌하수체 선종"과 호르몬 분비되지 않는다"비기능성 선종"으로 나뉜다.

 

기능성 뇌하수체 선종은 과잉 분비되는 호르몬의 종류로 나타나는 증상이 다르다. 뇌하수체샘종의 환자 중"비기능성 선종"이 약 40%, 기능성 뇌하수체 선종의 "젖 분비 생산 선종"이 약 30%, "성장 호르몬 생산 선종"이 약 20%, "부신 피질 자극 호르몬 생산 선종"이 약 5%, "갑상선 자극 호르몬 생산 선종"이 약 1%, 기타 약 4%이다.

 

원인

뇌하수체샘종은 뇌하수체의 일부 세포가 종양화 한 것으로 대부분 양성이다. 원인은 불명이지만 식사 등의 일상의 친밀한 습관, 행동 등이 영향을 주고 있는 게 아니고 또 유전적 요소는 없다고 생각된다. 또 원인으로는 보지 않더라도 체내의 내분비학적 환경의 변화가 다소 영향을 주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체내의 내분비학적 환경의 변화란, 예를 들면 임신, 출산 또는 호르몬 요법 등이다.

 

증상

종양이 시신경을 압박하고 시력, 시야 장애가 생기거나 뇌 척수액의 흐름의 장애가 되고 수두증을 초래하기도 한다. 비 기능성 선수에서는 호르몬의 감소로 인한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이 생긴다, 여성은 월경 불순, 무월경 등, 남자는 성욕 저하와 발기 부전 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또 종양 내에 출혈이 일어나는 갑작스러운 두통, 시력, 시야 장애 등이 생기기도 한다.

 

기능성 뇌하수체 선종에서는 과잉으로 분비되는 호르몬의 종류로 나타나는 증상이 다르다. 젖 분비 생산 선종에서는 여성에게는 월경 불순이나 무월경, 남성에게는 성욕 저하와 발기 부전과 같은 증상이 성장 호르몬 생산 선종에서는 거인증, 첨단 거대증의 증상이 나타난다. 부신 피질 자극 호르몬 생산 선종에서는 고혈압과 당뇨병 외에 얼굴이 둥그레지고, 손발에 비해서 가슴과 복부가 뚱뚱해지는 중심성 비만 등을 볼 수"쿠싱 병"이라고도 한다.

 

검사·진단

두부 엑스레이 촬영, CT나 MRI 등의 화상 검사를 하고 종양의 크기, 확대 등의 특징을 포착하고 주변의 동맥과 시신경 등과의 위치 관계 등을 파악한다. 또 기능성 뇌하수체 선종이 의심될 경우에는 혈액 검사나 소변 검사를 하고 혈액이나 소변에 포함된 호르몬의 값 등을 조사한다.

 

호르몬을 분비 자극하는 물질을 투여하고 일정 시간마다 채혈을 하는 내분비학적 검사에서는 각각의 호르몬을 조사하고 그 변화를 보자. 또 시력, 시야, 안저의 정밀 검사도 필요하다. 경비 수술을 예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코나 그 안쪽의 부비동에 염증이나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

 

치료

일반적으로는 경비 수술이 이루어지는데, 종양의 위치, 크기, 확산 등에 의한 개두 수술이 되는 경우도 있다. 시력, 시야 장애는 수술 직후부터 회복이 보인다. 또 여러 가지 상황에 의한 수술로 제거할 수 없는 종양이 있었을 경우에는 종양의 종류에 의한 약물 치료와 방사선 치료가 진행된다. 젖 분비 생산 선종, 성장 호르몬 생산 선종과 갑상선 자극 호르몬 생산 선종 등에서는 약물 치료가 선택할 수도 있다.

 

약물 치료는 종양의 증식을 억제하다 치료로 종양을 소멸시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장기 치료가 필요하다. 수술을 한 경우도 퇴원 후 정기적으로 호르몬 검사를 실시하는 동시에 나이 1회 정도의 MRI 검사, 혹은 CT 검사가 필요하다. 정기 검사의 결과에 응

 

예방/치료 후의 주의

뇌하수체샘종은 양성 종양으로 치료 후의 경과는 양호하다. 퇴원 후는 정기적으로 통원하고 검사를 받고 호르몬이 떨어지고 있는 경우에는 호르몬을 보충하는 약물 치료가 필요하다. 또 재발률이 높기 때문에 나이에 1번 정도는 경과 관찰 때문에 MR 검사나 CT 검사를 하고 종양의 증대와 재발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